IT

[IT] 공공기관, 국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전환

볼통통알파카 2022. 2. 9. 22:14
반응형

클라우드로 전환하라고? 

어느 날 클라우드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국가 및 공공기관의 정보화 사업은 우선적으로 클라우드서버를 활용하여 개발하도록 협조공문이 내려왔다.

 

약칭 클라우드컴퓨팅법: 클라우드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의거 25년까지 국가 및 공공기관에서 운영 중인 정보시스템을 민간 및 국가 클라우드로 이전하여 서비스를 추진하기를 권장? 무슨 이런 식의 공문이었다.

클라우드 서비스가 무엇인지 몰라 간단하게 정리하였다. 

 

  • 클라우드 서비스는?

클라우드서비스를 제공하는 건 크게 3가지로 SaaS, PaaS, IaaS로 구분 지을 수 있다.

우선 IaaS는 인프라를 주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하며 AWS에서 제공하는 EC2가 대표적인 예를 들 수 있다.

 

다음은 PaaS로 서비스형 플랫폼을 제공한다.

흔히 개발자들에게 환경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개발 툴킷과 표준, 배포 등에 대한 서비스를 지원한다. 대표적으로 구글의 APP엔진, Heroku를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SaaS는 서비스형 소프트웨어로 흔히 접하는 저장공간 제공, 서버 이용료 이런 것들이라 이해하면 쉽다. 대표적으로 네이버클라우드, 구글, 아이클라우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결과 우리가 사용해야 할 클라우드 서비스는 SaaS라고 알게 되었다.

 

  • 국가 및 공공기관 움직임

2025년까지 모든 행정공공기관의 정보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전환하기 위해 움직이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국가정책사업의 일환으로 21726일 사업계획을 발표했고, 공공클라우드센터 구축 및 운영과 민간클라우드센터를 이용하여 정보시스템을 이관하는 계획을 갖고 추진 중이다..

그 이유는 공공부문의 정보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와 스토리지의 노후화와 운영비, 일원화된 보안정책 등을 고려하여 클라우드사업을 진행하는 것이다.

 

실무자로서 25년까지 시스템을 이관하고, 예산을 책정하라는 부분은 많은 부담이 있다.

먼저 클라우드로 이관하게 된다면 장비와 시스템을 이전하면서 그러한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수정이 다양하게 필요한 시스템 같은 경우 관리자는 비용과 유연성에 있어 직접 관리가 더욱 유리하다.

특히 신규 시스템을 개발하고 관리하는 경우 클라우드컴퓨팅은 행정절차상 아직 어려운 점이 많이 있다.

 

 

하소연

행정 및 공공기관은 사업을 추진하면서 정보화사업이 먼저 선행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그런 경우 시스템을 구축하게 되면 예측되지 않은 활용성과 요청한 실무자조차 모르는 업무 프로세스,, 시스템 활성화에 필요한 홍보예산, 시스템 운영시 유동적인 자원 등 다양한 변수들이 있고, 이를 오차범위 적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분명 그것을 해줄 수 있지만 최고 관리자와 임원진의 적극적인 실무적 지원이 없는 한 어려운 상황인 것 같다.

 

현실은 조달입찰에 응하는 국가 및 공공기관 시스템을 개발하는 개발사는 개발컨설팅, 비용, 다양한 변수 등 통제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사업체는 입찰이 제한되거나 혹은 예산 대비 다양한 변수로 입찰을 하지 않는 경우가 더 크다.

 

전산실 근무자에게 25년까지 국가 및 공공기관에서 운영 중인 정보시스템을 민간 및 국가 클라우드로 이관하는 과제가 주어졌다.

하지만 데이터의 가치가 적은 기관은 내부 정책을 변경하여 보안에 들어가는 비용을 낮추는 방법으로 활용하면서 폐기 혹은 신규 클라우드 개발을 하는 방향이 유리하다고 생각한다.

 

실제 시스템을 전환하기 위해 기존 사용량을 측정하여 비용을 책정하고 이관에 필요한 예산을 계획했지만 전환 후 유지보수 예산과 현재 직접 유지보수하는 비용 차이가 년간 100만 원 단위정도 차이가 나고, 향후 수정 요청 시 요구되는 비용은 별도라는 점이 문제다.

반응형